티스토리 뷰

   대한제국의 마지막 황녀 - 덕혜옹주




덕혜옹주(德惠翁主, 1912525~ 1989421)는 조선의 제26대 왕이자 대한제국의 초대 황제였던 고종과 귀인 양씨 사이에서 태어난 고명딸이다. 황녀로서 덕혜라는 호를 하사받기 전까지 복녕당 아기씨로 불렸고, 1962이덕혜’(李德惠)로 대한민국의 국적을 취득하였다. 일제 강점기 경기도 경성부 덕수궁에서 태어나 경성일출공립심상소학교 재학 중에 일본의 강제적인 요구에 따라 유학을 명분으로 도쿄로 보내져 일본 황족들이 공부하는 학교인 여자 가쿠슈인에서 수학하였다. 1931년 옛 쓰시마 번주 가문의 당주이자 백작 소 다케유키와 정략 결혼을 하여 1932년 딸 소 마사에를 낳았다. 그러나 이즈음 조울증, 우울장애, 반복성 우울 장애와 더불어 정신장애인 조현병(정신분열증) 증세를 처음 보였으며, 결혼 이후 병세가 악화되었다. 1946년부터 마쓰자와 도립 정신병원에 입원하였고, 1955년 이혼하였다.

 

1962년 기자 김을한과 영친왕의 부인 이방자의 협조로 대한민국으로 영구 귀국하여 창덕궁 낙선재 내의 수강재에서 거주하다가 1989년 뇌졸중으로 사망하였다. 유해는 경기도 남양주시 금곡동의 홍유릉 부속림에 안장되었다.


생애


출생 및 유년 시절

 

덕혜옹주는 1912525일에 일제 강점기 경기도 경성부 덕수궁에서 고종과 귀인 양씨 사이의 딸로 태어났다. 출산과 동시에 궁녀였던 양씨는 복녕’(福寧)이라는 당호를 하사받아 귀인으로 봉해졌으며, 덕혜옹주도 복녕당 아기씨라고 불리게 되었다. 같은 해 713일에 고종은 덕혜옹주를 복녕당에서 자신의 거처인 함녕전으로 데려 왔다. 고종은 총 94녀의 자녀가 있었지만 31녀만이 성년이 될 때까지 생존하여 덕혜옹주가 사실상 유일한 딸이 되었다.

 

191641일에 고종 태황제는 덕혜옹주를 위하여 덕수궁 안에 유치원을 설치하도록 명하였고, 쿄구치 사다코와 장옥식을 보모로 촉탁하였다. 유치원은 준명당에 설치되었으며, 덕혜옹주는 귀족의 딸들 중 또래 7~8명과 함께 교육을 받았다. 19176월 왕공족의 신분을 정식으로 인정받았다. 고종은 덕혜옹주가 영친왕 이은처럼 볼모로 일본에 보내지거나 일본인과 정략 결혼을 하게 될 것을 염려하여 시종 김황진의 조카 김장한과 비밀리에 약혼을 계획하였지만 일본의 방해로 실패하였다. 1919년 고종이 승하한 후에도 덕수궁에 머물다가 고종의 혼전이 창덕궁으로 옮겨지자 1920315일 모친인 양귀인과 함께 창덕궁 내 한 전각으로 거처를 옮겼다.

 

학창 시절

 

경성일출공립심상소학교

192041일부터 궁 내에서 심상소학교 1학년 과정을 3인의 학우들과 같이 교육 받다가192141일 경성에 머문 일본인을 수용하기 위해 설립된 경성일출공립심상소학교 2학년으로 입학하였다. 일출심상소학교에서는 일본복식을 입어야 한다는 규정이 있었으므로 통학할 때에는 일본 복식을 갖추어 입었는데, 옹주는 주로 몬쓰키와 하카마를 착용하였다. 학교의 수업은 일본어로 진행되었고, 그녀는 유학 이전에 이미 일본어를 능숙하게 구사하였다. 192154일에 덕혜라는 호를 정식으로 하사받았으며, 일본 궁내성에 상신을 거쳐 옹주의 존칭을 이때부터 사용하게 되었다. 당시 함께 재학 중 이던 급우의 회고록에 따르면, 옹주는 왕족다운 기품을 갖추고, 키가 크고 얼굴이 희었으며, 머리는 한가운데를 반으로 나누어 뒤에서 양쪽으로 길게 땋아 얌전하게 늘이고, 일본 옷에 하카마를 입고 학교를 다녔다고 한다. 또한 상궁이 항상 마차를 같이 타고 와 수업 중 교실 뒤에 서서 지켜보고 있었다고 한다. 당시 옹주의 또 다른 학우는 옹주가 공부를 잘 하였으며, 특히 습자에 능하였다고 회상하고 있다. 옹주는 동요를 짓는 데에도 능하였다.


결혼생활


덕혜옹주의 결혼전에 배우자가 일본 황족과 조선귀족 중에서 선택될 것이라는 혼약설이 있었지만, 1930년 10월 소 다케유키와의 결혼이 결정되었다. 소 다케유키는 옛 쓰시마 번주 소 요시아키라의 양자로 들어가 백작의 지위를 계승한 화족으로 혼인이 결정될 무렵 도쿄 제국대학 영문과 3학년에 재학중이었다. 왕공족의 혼사는 칙허를 받아야 한다는 <왕공가궤범> 제 119조에 따라 1931년 4월 14일 덕혜옹주의 결혼을 인정하는 쇼와천황의 칙허가 내려졌고, 같은 해 5월 8일 도쿄에서 결혼식이 순일본식으로 거행되었다. 옹주의 혼인에 관한 유언비어가 돌고 그녀의 혼인이 확정되자 옹주의 신하와 옛 친척들은 많은 반대를 보였다. 옹주는 결혼 당초부터 거의 완전한 실어증 증상을 보였으며, 그녀의 조현병은 상당히 진행되어 있었다. 당시의 모습을 본 이에 따르면, 전혀 말을 하지 않고 고개만 숙이고 있을 뿐, 계속 고리내어 실소하는 병적인 모습을 보였다고 한다. 이후 옹주는 1932년 8월 14일 딸 소 마사에를 낳았다.


귀국


서울신문 고쿄 특파원으로 활동한 김을한 기자는 덕혜옹주의 귀국을 추진하였고, 1961년 11월 12일 미국을 방문하던 도중 도쿄에 들른 국가재건최고회의 의장 박정희는 영친왕비 이방자 여사와 만나 영친왕과 덕혜옹주의 귀국에 대한 협조를 약속했다. 옹주는 입원한 1946년 이래 15년 가까이 마쓰자와 병원에서 지내다가 1962년 1월 26일 38년간의 일본생활을 끝내고 대한민국으로 영구 귀국하였다. 귀국 당일 김포공항에 유치원과 고학교 동창 민용아와 당시 72세의 유모 변복동이 마중을 나왔고, 창덕궁 낙선재에 들러 순정황후 윤씨를 만난 후에 서울대학교병원에 입원하였다. 같은해 2월 8일 '이덕혜'로 대한민국 국적을 회복하였고, 같은해 3월 28일 최고회의 상임위원회는 덕혜옹주에게 생계비를 지급하기 위하여 <구황싱재산법> 개정법률안을 통과시켰다. 1967년 5월 4일 병세가 안정되어 병원에서 퇴원하였고, 이후 1968년 가을 창덕궁 낙선재 내의 수강재로 옮겨 기거 하였다. 전남편인 소 다케유키가 덕혜옹주를 만나기 위해 낙선재로 찾아왔지만 관계자들에 의해 면담이 거부되었다. 1970년 10월 29일 자궁에 생긴 용종 제거 수술을 받기위해 서울대학교 병원에 입원하였고, 1983년 5월 24일에 노환으로 한강성심병원에 입원하였다. 1989년 4월 21일 오전 11시 40분에 창덕궁 수강재에서 사망하였다. 4월 25일에 수강재에서 전주이씨대동종약원 주관으로 영결식이 엄수되었고, 우해는 경기도 남양주시 금곡동의 홍유릉 부속림에 안장되었다.



덕혜옹주 가계도



댓글